https://youtu.be/UyESqYSb0gY 먼저 이미지 경로 넣기 (상대경로) App.vue가 현재 src폴더 안에 있고 같은 폴더라는 걸 뜻하는 표현은 ./ 지금은 src > assets 안에 이미지를 넣었으니 "./assets/이미지명 해주면 됨. 그리고 지금은 img의 src도 for문으로 동적으로 생성하고 싶으니 v-bind:src를 써서 경로를 바인딩 해주면 된다. 축약어는 (:src) 이 때, 경로는 require() 안에 넣어줘야 제대로 동작한다. 모달창 같은 UI 만드는 법 (마치 스위치 같은 느낌) 1. UI의 현재 상태를 데이터로 저장해둠. 예) ModalOn = false 로 지정. 2. 데이터에 따라 UI가 어떻게보일지 작성 예) v-if="ModalOn == true" 상..
전체 글
https://youtu.be/Agm-F366ZwY JS의 onClick 대신 vue는 v-on:click을 쓰면 된다. v-on:은 @로 치환이 된다. {{ 작명 }} {{ p.원룸명 }} {{ p.가격 }} 만원 허위매물신고 신고수 : {{ alerts }} Vue에서 함수 만드는 법 {{ 작명 }} {{ p.원룸명 }} {{ p.가격 }} 만원 허위매물신고 신고수 : {{ alerts }}
https://youtu.be/T4N9wjx7_E4 vue의 반복문은 v-for="작명 in 횟수" :key="작명" 의 형태이다. 그런데 저 횟수 안에 array나 object도 넣을 수 있고 그 array나 object 안에 들어있는 개수 만큼 반복해주는 기능도 있다. 이걸 왜 쓰냐? 작명이라고 내가 만든 변수를 데이터바인딩하면 array안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임. {{ 작명 }} data() { return { menus: ['Home', 'Shop', 'About'], products: ['역삼동원룸', '천호동원룸', '마포구원룸'], price: [50, 100, 150], }; {{ 작명 }} 에 Home Shop About이 차례대로 출력된다. 그리고 key는 인덱스 개념인데 작..
https://youtu.be/0BbF7UxKKvg 데이터바인딩은 데이터를 자바 오브젝트 형식으로 저장해두었다가 HTML template에 갖다 쓰는 것이다. 오브젝트 안의 변수에 할당된 값이 변하면 자동으로 렌더링을 다시 해준다. (마치 react에서 state 변경을 감지해서 렌더링해주는 것이랑 같은 느낌이다.) *요지는 자주 변하는 값들을 데이터바인딩 해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HTML 태그 사이에 값을 넣는 경우에는 {{ }} 형식으로 넣어주면 된다. 태그의 속성 또한 데이터바인딩이 가능한데 :속성="데이터이름" 형식으로 넣어주면 된다. 원룸샵 XX 원룸 {{ price1 }} 만원 XX 원룸 {{ price2 }} 만원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아래쪽의 스타일 때문에 위의 h4에 파란색이 적용되고 pr..
https://youtu.be/NONWar0jGLM 이 강의를 보고 따라하기로 했음. 1. node.js 설치 (이미 되어 있음.) 2. 터미널에 npm install -g @vue/cli 입력해서 Vue 3 개발환경 구성 3. Vetur, HTML CSS Support, Vue 3 Snippets 플러그인 설치 4. 프로젝트 폴더 생성 vue create vuedongsan 나는 여기서 보안 오류가 떠서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아래를 입력했다.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이후에 다시 vue create를 하니 제대로 실행이 된다. vue 3 을 선택하여 vuedongsan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했다. vuedongsan 프로젝트 폴더를 폴더 열기 한..
리액트(React.js)와 뷰(Vue.js)의 차이점 (brunch.co.kr) 리액트(React.js)와 뷰(Vue.js)의 차이점 초급 프론트엔드개발자를 위한 쉬운 설명 | UI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먼저 리액트는 UI 라이브러리입니다.(https://reactjs.org/) 다들 아시겠지만 라이브러리는 참조가 쉽고, 라이브러리의 일부분 brunch.co.kr 이 글을 보고 왔습니다. 둘 다 Single Page Application (Web-app) 만들 때 쓰는 라이브러리다. 하지만 뷰의 지향점은 프레임워크이다. 리액트는 .js로 개발하지만 뷰는 .vue로 개발한다. Typescript를 쓰는 경우에 리액트가 더 궁합이 잘 맞는다. 난이도는 리액트보다 뷰가 더 쉽다. 뷰는 만드는 방법이 매우..
개발자로서의 첫 면접을 보고 왔다. 한 시간 좀 안되게 엄청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사님과의 일대일 면접이었기도 하고 처음이라 굉장히 긴장을 많이 했다. 똑같은 얘기 또하고 그랬던 것 같다. 기술 질문. 1.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의 차이는 무엇인가? 2. Mybatis와 JPA의 차이는 무엇인가? 3. 왜 JPA를 더 좋게 평가했느냐? 4. ORM의 장점은 무엇이냐? 5. RESTful한 개발은 무엇인가? 6. React와 Vue의 차이는 무엇인가? 7. 왜 React를 선택했는가? 인성 질문. 1. 살면서 주변으로부터 잘한다고 들어온 능력이 있는가? 2. 3년 후의 나는 어떻게 성장해 있을 것인가? 3. 장기 비전은 어떻게 되는가? 4. 프로젝트에서 조장을 맡았을 때 아쉬웠던 점은 무엇이었는가? 5..
1. DFS(Depth First Search) - 스택 또는 재귀를 사용해서 구현 위의 트리를 인접행렬로 나타내는 코드 adj = [[0] * 13 for i in range(13)] adj[0][1] = adj[0][7] = 1 adj[1][2] = adj[1][5] = 1 adj[2][3] = adj[2][4] = 1 adj[5][6] = 1 adj[7][8] = adj[7][9] = 1 adj[9][10] = adj[9][11] = adj[9][12] = 1 for row in adj: print(row) 13*13 행렬을 만들었다. 이를 토대로 dfs를 짜면 def dfs(now): for nxt in range(13): if adj[now][nxt]: print(now, '->', n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