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pring boot 버전은 2.6.2 설정 위 사진과 같이 추가했다. 새 프로젝트의 구조는 위와 같다. 2.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니 지난번 프로젝트 때 톰켓 포트 8080으로 해 놓은 게 충돌해서 실행이 안됐다. + 안쓰는 디펜던시들을 주석 처리 해놓았다. 3. 스프링 부트 설정파일인 application.properties에 server.port = 8282 를 추가해 주었다. package com.pure.blog.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스프링이 com.pure.blog 패키지 이하를 스..
1. Java 환경변수 설정. 나는 이미 되어 있다. 환경 변수 설정하는 이유를 몰랐는데 이번에 알게 되었다. cmd에서 java를 입력하면 경로가 설정이 안되어 있어서 java를 실행을 못하는데 이를 해결해 주기 위한 방법이 환경 변수 설정이었다. (이런 이유들을 설명을 해줘야 하는데 안해주는 게 이번 국기훈련의 문제였음. 뭐든 나는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데 결과만 강요하는 게 좀 짜증났음.) 2. MySql 설치 원래 oracle 썼었는데 이번에는 MySql로 해보겠음. MYSQL 8.0.28 로 설치하였음. 3. STS4 4.11.0 설치 + intelli J Keymap 설치 IntelliJ는 유료다. 인텔리 제이는 자바, 스프링,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기능을 전부 가능하고 ..
1) Http? 서버(갑)는 클라이언트(을)의 요청을 받아 응답을 해줌. 요청은 URL을 통해서 하게 됨. 이 때 URL을 통한 요청은 static 통신임. 단발적인 요청. 소켓 통신은 연결이 지속됨. 2) 톰켓? 아파치는 웹 서버임. 톰켓은 자바코드를 서버가 이해할 수 있도록 컴파일 해주는 녀석임. (JSP를 받아서 해줌) 그렇게 컴파일을 해서 .html 파일을 응답해 주는 것임. *URL: 자원에 접근 *URI: 식별자에 접근 3) web.xml - ServletContext의 초기 파라미터 - Session의 유효시간 설정 - Servlet/JSP 매핑 - Mime Type 매핑 --> 내가 요청시 들고 올 데이터가 뭔지 물어보는 것. - Welcome File list - Error Pages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