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SON의 정의- JSON은 Javascript 객체 문법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 형식이다.- 객체문법말고도 단순 배열, 문자열도 표현이 가능하다. 2. 특징- 독립적이다.- 언어가 업데이트 되는 것과 달리 JSON의 규격은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언어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하기 좋고 API의 반환형태로 많이 쓰이게 되는 것이다.- undefined, 메서드 등은 들어갈 수 없다.- Number, String, Boolean, Array, Object, null 이 들어갈 수 있다. 3. 직렬화와 역직렬화- 직렬화란 외부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byte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이다.- 역직렬화는 반대로 byte 형태를 다시 object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
전체 글
Kafka란? 목적: Event/Message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장점: 고가용성, 빠른 처리 단점: 순서보장이 어렵다. 아주 작게 사용이 어렵다. Distributed Message Platform Distributed -> 분산 처리가 된다. Pub/Sub -> 전달하는 쪽은 전달받는 곳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 Producer, Consumer가 존재 다 : 다 로 동작 Server: Zookeeper로 Broker 간의 분산처리 정보를 관리한다. 보통 3개 이상의 브로커로 구성된다. KSQL, COnnector, Kstream 등의 추가 모듈을 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KRaft를 통해 zookeeper를 제거할 수 있다. Zookeeper는 뭔데? 카프카 클러스터 및 하위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나는 위도 경도 거리 계산 관련해서 자바 코드로 만들고 각 장소의 위도, 경도 값들을 RDB에 저장해 놓고 꺼내다 계산해서 반경 n km 이내 지점들을 돌려주기 이딴 것들을 구현해서 쓰고 있었는데... 홀리 쉬엩트... 레디스에는 geospatial 기능이 있어서 그냥 위도 경도를 저장해주면 알아서 sorted set을 이용해서 거리를 계산해서 돌려주는 미친 기능이 있었다... https://wonyong-jang.github.io/bigdata/2021/05/12/BigData-Redis-Geospatial.html [Redis] Geospatial 자료구조 - SW Developer 이번 글에서는 redis에서 geospatial data를 저장하고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