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글 설정
C:\ProgramData\MySQL\MySQL Server 8.0\my.ini 파일 수정
아래 내용을 추가해 줬음.
저장이 안되서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수정하였음.
저장 이후에는 작업 관리자에서 서비스 -> MySQL80을 다시 시작 해주어야 함.
[client]
default-character-set=utf8
[mysql]
default-character-set=utf8
[mysqld]
collation-server = utf8_unicode_ci
init-connect='SET NAMES utf8'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character-set-server=utf8
2. 사용자 생성 및 권한 추가
-- 유저이름@아이피주소
create user 'pure'@'%' identified by 'pure1234';
-- ON DB이름.테이블명
-- TO 유저이름@아이피주소
GRANT ALL PRIVILEGES ON *.* TO 'pure'@'%';
CREATE DATABASE blog CHARACTER SET utf8 DEFAULT COLLATE utf8_general_ci;
use blog;
MySQL 설치할 때 계정을 생성했어서 drop user pure; 먼저 한 줄 실행한 후에 위의 코드를 실행했음.
3. MySQL 프로젝트 연결
server:
port: 8282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localhost:3306/blog?serverTimezone=Asia/Seoul
username: pure
password: pure1234
지난번에 application.properties에 포트 설정을 했는데 .yml 파일로 바꾸었기 때문에 표현을 바꾸어줬다.
아래 spring: 부터가 MySQL 연결 코드이다.
'취업 준비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Http 1.1 실습 (0) | 2022.01.21 |
---|---|
4. HTTP1.1 체험하기 (0) | 2022.01.21 |
2. 의존성 설정 (0) | 2022.01.20 |
1. 준비하기 (0) | 2022.01.20 |
0. Spring Boot 기본 개념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