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에서의 변수와 상수
- 변수: 변할 수 있는 데이터
- 상수: 변하지 않는 데이터
변수 선언법
var 변수명 = 값;
let 변수명 = 값; (더 보편적)
상수 선언법
const 상수명 = 값;
JS에서의 자료형
1. 숫자형(number): 정수, 실수 모두 포함. 십진수에 일반적으로 사용. 16진수는 글자색이나 배경색을 나타낼 때 사용.
2. 문자형(string): 홑따옴표 또는 쌍따옴표 안에 글자를 넣은 자료형.
3. 논리형(boolean): true / false 값을 가지는 자료형.
4. 함수형
5. 클래스
6. undefined : 변수나 상수를 선언만 하고 초기화하지 않은 경우 출력되는 자료형.
7. null
8. NaN : Not A Number. 숫자가 아닌 데이터를 숫자처럼 사용하는 경우 출력됨.
**자료형을 판별하는 연산자 typeof
**변수명 작성 규칙
1. 영문 대/소문자, 숫자, _ 또는 $ 사용가능.
2. 변수명의 첫 글자로 숫자가 올 수 없음.
3. 변수명은 대소문자가 구분됨.
4. 변수명 작성 시 소문자로 시작해야 함.
5. 공백이 들어가선 안됨.
6. 변수명 사용시 되도록 의미를 부여하여 작성하는 것이 좋음.
7. JS 예약어 사용 불가.
8. 두 단어 이상을 결합해서 변수명 사용 시 camelCase 권장.
'국기훈련과정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JS 연산자 (0) | 2021.10.06 |
---|---|
06. JS 알림창 (0) | 2021.10.05 |
04. JavaScript_개요 (0) | 2021.10.05 |
02. HTML5 (0) | 2021.09.29 |
1. HTML_01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