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파일명
하게 되면 파일 편집을 실행하게 되고 vi 명령어를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i를 누르면 INSERT 모드가 된다. 원하는 내용을 적은 후 esc를 누르면 다시 명령 모드가 된다.
:w 를 하면 적은 내용이 저장된다. 그리고 :q 를 입력하면 다시 쉘로 나오게 된다.
:wq는 위의 두 과정을 합쳐서 저장하고 나가기이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기록된 것을 알 수 있다.
놀랍게도 리눅스 중에는 화살표가 안먹는 환경이 있다.
그런 경우에는 h (왼쪽) l (오른쪽) j(아래쪽) k (위쪽) 을 활용해야 한다.
딱히 vi를 많이 쓸 일은 없으니 필요할 때 명령어를 찾아서 쓰면 된다.
'클라우드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찾기와 파일 정보 확인하기 (0) | 2022.04.13 |
---|---|
GNU nano 편집기 (0) | 2022.04.13 |
파일 관리를 위한 명령어 (0) | 2022.04.13 |
파일 탐색을 위한 명령어들 (0) | 2022.04.13 |
윈도우에서 wsl을 사용하여 wsl 설치 후 root 계정으로 바꾸기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