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dir: make directory -> 디렉토리 생성
rmdir: remove directory -> 디렉토리 삭제
touch: 빈 파일 생성
mv: move -> 파일 이동 / 변경
rm: remove -> 파일 삭제
cp: copy -> 복사
rm -r : recursive 옵션 -> 디렉토리 삭제시 사용.
그냥 rm으로 하려면 최하위 디렉토리부터 삭제하며 상위 디렉토리로 넘어가야 함.
-r 옵션을 써주면 한 번에 하위 경로의 것들까지 싹 다 삭제 가능.
rm -ri : 같은 재귀 작업인데 삭제시마다 확인을 받고 삭제를 실행함.
soomin@Purewater:~$ ls
prac1
soomin@Purewater:~$ mkdir workspace
soomin@Purewater:~$ mkdir 123
soomin@Purewater:~$ ls
123 prac1 workspace
soomin@Purewater:~$ touch etc
soomin@Purewater:~$ ls
123 etc prac1 workspace
soomin@Purewater:~$ ls -l
total 12
drwxr-xr-x 2 soomin soomin 4096 Apr 13 21:11 123
-rw-r--r-- 1 soomin soomin 0 Apr 13 21:12 etc
drwxr-xr-x 2 soomin soomin 4096 Apr 13 21:08 prac1
drwxr-xr-x 2 soomin soomin 4096 Apr 13 21:11 workspace
soomin@Purewater:~$ mv etc workspace/
soomin@Purewater:~$ ls workspace
etc
soomin@Purewater:~$ ls
123 prac1 workspace
soomin@Purewater:~$
ls -l 했을 때 디렉토리는 파일명 앞에 dr이 붙는 걸 알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U nano 편집기 (0) | 2022.04.13 |
---|---|
파일 편집기 vi (0) | 2022.04.13 |
파일 탐색을 위한 명령어들 (0) | 2022.04.13 |
윈도우에서 wsl을 사용하여 wsl 설치 후 root 계정으로 바꾸기 (0) | 2022.04.13 |
Window 10 환경에서 Linux Ubuntu 설치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