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et 요청
주소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낸다. ==> Http body가 없다.
데이터 형태는 key = value
2. Post, Put, Delete 요청 (데이터를 변경)
담아 보내야 할 데이터가 여러개임.
post 방식은 form 태그의 method = 'post'로 하면 됨.
하지만 form태그는 get, post 방식만 사용 가능.
그래서 나머지는 자바스크립트로 요청해야 함.
==> 자바스크립트로 ajax 요청, 형식은 JSON으로 통일하게 됨.
*form:form 태그라는 것도 있음.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능)
taglib 중에 하나임.
3. 스프링 컨트롤러의 파싱 전략 1
key = value 형태는 자동으로 파싱하여 변수에 담아줌.
4. 스프링 컨트롤러의 파싱 전략 2
key = value 형태의 데이터를 오브젝트로 파싱해서 받아주기도 함.
단, 해당 변수에 대한 setter가 있어야 작동함.
5. key=value가 아닌 데이터(JSON)의 파싱 전략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파라미터 앞에 붙여줘야 Jackson라이브러리가 오브젝트로 파싱해줌.
'취업 준비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로그인, 회원가입 만들기 (0) | 2022.01.25 |
---|---|
20. 메인화면 만들기 w/ bootstrap4 (0) | 2022.01.25 |
18. 예외처리 컨트롤러 만들기 (0) | 2022.01.24 |
17. Delete 테스트 (0) | 2022.01.24 |
15. 전체 User select 및 paging 처리 (0) | 2022.01.24 |